본문 바로가기
일상이야기

내 고용보험 가입이력, 1분 만에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!

by sky0879 2025. 8. 11.
반응형

내 고용보험 가입이력, 1분 만에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!

실업급여, 경력 증명 등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필요한 순간, 어디서 어떻게 확인해야 할지 막막하셨나요?

특히 실업급여 수급 자격인 '피보험 단위 기간 180일'을 확인하려다 시간을 허비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

이제 더 이상 헤매지 마세요!

이 글에서 고용보험 가입이력을 PC와 모바일로 쉽고 빠르게 조회하는 방법을  정리해 드릴게요

1. PC로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하는 방법

PC로 조회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.

① 근로복지공단 고용·산재보험 토털서비스

고용보험 가입이력을 가장 정확하고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공식 채널입니다.

  • 접속: 고용·산재보험 토털서비스 바로가기
  • 경로: 로그인 > 개인 > 정보조회 >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
  • 특징: 공동인증서, 금융인증서, 간편 인증(네이버, 카카오 등)으로 간편하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. 피보험자격 신고 현황, 상실 이력 등을 한눈에 볼 수 있어 편리합니다.

② 정부 24

다양한 민원서류를 발급받는 정부 24에서도 고용보험 가입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접속: 정부24 바로가기
  • 경로: 검색창에 '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' 검색 > 신청

특징: 공공 서비스 포털인 만큼, 고용보험 이력 외에도 다양한 서류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
2. 모바일로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하는 방법

바쁜 일상 속, PC를 켜기 어렵다면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조회해 보세요.

① 고용보험 모바일 앱

고용보험 관련 정보만 모아둔 전용 앱입니다.

  • 다운로드: 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에서 '고용보험' 검색 후 설치
  • 경로: 로그인 > 마이페이지 > 고용보험 가입이력

특징: 모바일 최적화된 화면으로 언제 어디서든 빠르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3. 가입이력 조회, 단순 조회 말고 이렇게 활용하세요!

단순히 이력만 확인하고 끝내면 아쉽겠죠? 다음 내용도 함께 확인해 보세요.

  • 180일 기준 계산: 실업급여 수급을 위한 피보험 단위 기간 180일은 고용보험에 가입된 기간을 뜻합니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근무 기간 중 무급 휴일은 제외되므로, 정확한 계산은 실업급여 수급조건 가이드에서 확인해 보세요.
  • 오류 수정: 만약 가입 기간에 오류가 있다면, 근로복지공단에 '피보험자격 확인청구서'를 제출하여 정정할 수 있습니다.

미가입 사업장 신고: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채 근무했다면, 관할 고용노동청에 신고하여 권리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.

고용보험 가입이력, 이제 더 이상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!

위의 방법들을 통해 소중한 내 경력과 권리를 지키는 첫걸음을 시작해 보세요.

 

댓글